본문 바로가기

노무비3

직접노무비의 계산(임률과 시간외근무수당) 기업은 임직원이 제공한 노동력의 대가로 임금이나 급여를 지불한다. 만약 임직원의 업무활동이 판매 또는 관리 활동과 관련되어 있으면 손익계산서상 판매비와 관리비로 처리하고, 생산활동과 관련되어 있으면 제조원가명세서상 노무비로 처리한다. 직접노무비의 계산 노무비로 처리되는 임금이나 급여는 제품의 생산을 위해 직접 작업에 투입된 직접 인원에 대한 직접노무비와 제품의 생산을 간접적으로 지원하는 간접 인원에 대한 간접노무비로 다시 세분화된다. 직접 인원이 제품을 생산하는 데 투입한 직접 작업시간에 임률을 곱하면 직접노무비가 계산된다. (직접노무비: 임률 X직접 작업시간) 1. 직접 작업시간의 파악 직접노무비를 계산하는 데 있어 기초가 되는 직접 작업시간이란 제품의 생산을 위해 소비되었음을 직접적으로 인식할 수 있.. 2022. 9. 26.
노무비의 정의와 노무비의 분류 원가는 크게 재료비, 노무비, 경비 등으로 나눠지는데, 오늘은 노동력의 소비에 따른 발생원가인 노무비의 정의와 노무비를 어떻게 분류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노무비의 정의와 분류 노무비란 생산활동에 종사하는 사람에게 지급하는 임금이나 급여, 상여, 제수당(초과근무수당, 가족수당 등)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생산직 노동에 대한 대가로 지불하는 것을 임금이라고 하고, 생산직 이외의 사무직이나 감독자에게 지불하는 것을 급여라고 한다. 반면에 일용직에 대해 지급하는 인건비는 잡급으로 처리하는데, 이처럼 상세하게 분류하지 않고 '급여'로 통합해서 처리해도 무방 하다. 노무비에는 정기적으로 지급하는 임금이나 급여 이외에, 부정기적으로 지급하는 상여·수당·퇴직금 · 복리후생비 등이 있다. 복리후생비란 임직원의 복리와 후생.. 2022. 9. 19.
총원가=제조원가+영업비용, 비원가 항목들과 원가의 분류 총원가=제조원가+영업비용이다. 원가란 한마디로 원재료의 매입, 제품의 생산 및 판매 등과 같은 경 영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부담한 금액을 말하며, 크게 제조원가와 영업비용으로 나눌 수 있다. 제조원가와 비 원가 항목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총 원가와 제조원가 제조원가는 제품의 제조 또는 생산과 관련하여 제품이 최종적으로 완성될 때까지 발생한 모든 원가를 말한다. 반면 영업비용(영업비) 은제품이 완성된 이후 제품을 판매하면서 부담한 비용과 회사를 관리, 운영하기 위해 부담한 비용을 말한다. 이러한 영업비용은 다시 판매비와 관리비로 구분된다. 제조원가에 영업비용을 더하면 총원가가 되는데, 이를 제품 생산량으로 나눈 제품 1 단위당 원가에 이익을 더하면 제품의 판매 가격이 된다. 여기서 제품 1 단위란 업종에.. 2022. 9.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