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가2 원가의 배부계산(예정배부율) 원가의 배부계산과 배부계산시 감안해야할 사항 및 예정배부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원가의 배부와 과정 원가계산의 가장 큰 목적은 '제품원가가 얼마인가'를 계산하는 것이다. 이때 제품의 원가를 직접적으로 구성하는 직접원가는 각각의제품에 직접 집계한다. 예를 들어 개별원가계산에 있어 제조지시서에 직접원가를 기입하는 것이다. 이처럼 생산활동에 따라 발생하는 모든 원가가 제품에 직접 부과할 수 있는 직접원가라면 원가계산은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 간접원가는 제품에 직접 부과할 수가 없다. 특히 간접원가로 발생한 금액이 소액이라면 어떻게 배부하든 큰 차이가 발생하지 않겠지만, 기계설비의 감가상각비처럼 간접원가의 발생금액이 크고 중요하다면 그 기계설비를 활용하여 제조된 제품에 정확하게 부담시켜야 한다.. 2022. 10. 3. 원가부문(설정원칙)과 배부기준 원가는 기업(조직)의 다양한 조직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발생 원가 관리 및 계산을 위해선 원가 부문을 설정하고 배부기준을 정하여야 한다. 원가 부문의 뜻과 설정 원칙, 그리고 배부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부문 기업은 수많은 기능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경영활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처럼 일정한 기준에 따라 분류된 기능을 부문 또는 부서라고 하며 영업부·인사부·생산부·자재부 등이 이에 해당된다. 한편 전체 조직을 본사와 공장 등과 같은 사업부문별로 구분한 후, 이를 다시 세분화된 부문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서울 본사와 안산공장으로 구분한 후, 안산공장을 자재부·생산부·검사부. 물류부·수선부 · 업무부 등의 조직으로 구분하고, 생산부는 다시 생산 1부와 생산 2부로.. 2022. 10. 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