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가회계 시 재료비와 노무비 말고도 경비를 빼놓을 수 없다. 경비는 직접경비와 간접경비가 있는데, 각 경비를 어떻게 분류하고 어떤 항목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직접경비와 간접경비의 정의와 분류
먼저, 경비란 외주가공비, 감가상각비, 재고 감모손실, 복리후생비, 임차료, 수선비, 전력비, 여비교통비 등 재료비와 노무비 이외에 생산 활동을 위해 공장에서 부담한 모든 항목을 말한다. 경비 역시 제품과의 관련성에 따라 직접경비와 간접경비로 나눌 수 있다. 개별 원가계산에서는 제조지시서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고 개별적으로 직접 파악할 수 있는 항목은 직접경비로 처리하고 제조지시서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항목은 간접경비로 처리한다.
그러나 종합원가계산에서는 개별 원가계산과 달리 제조지시서가 없다. 따라서 경비와 제품 간의 연관성을 식별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비는 간접경비로 처리한다.
- 직접경비: 외주 가공비, 특허권 사용료, 특수기계의 임차료, 시험 제작비
간접경비와 분류
간접경비는 실제 발생한 금액을 계상한다. 다만 발생액을 인식, 측정하는 방법에 따라 지급경비, 월할 경비, 측정 경비, 발생 경비 등 여러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지급경비는 경비의 가장 기본적인 유형으로서 실제 지급된 금액이나 거래처로부터 청구된 금액을 기준으로 경비를 측정하는 것을 말하며, 여비교통비·사무용 소모품비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월할 경비는 감가상각비 · 부동산 임차료와 같이 수개월분을 일시에 계산하거나, 지불한 금액의 합계액을 월별로 분할해서 계상하는 항목을 말한다. 측정 경비는 월별로 실제 사용한 물량에 단가를 곱해 계산하는 경비로서, 전기료 · 수도료 · 가스료와 같이 계측기로 소비량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은 그 실제 소비량에 따라 경비를 계산한다.
발생 경비는 재고 감모손실처럼 실제 지급 없이 경비로 계상하는 것으로서, 통상 연간 발생 예정액을 추정하여 월별로 나눠 계산한다.
간접경비의 분류
1. 지급경비
- 수선비, 복리후생비, 여비교통비, 사무용 소모품비
2. 월할 경비
- 감가상각비, 부동산 임차료
3. 측정 경비
- 전기료, 수도료, 가스료
4. 발생 경비
- 재고 감모손실, 임원관리비용 임원관리비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