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원가의 요소 중 하나인 재료비를 알아보고자 한다. 재료비는 원재료의 소비에 따른 발생원가를 말한다. 그렇다면 재료비에는 어떤 것이 있고 어떻게 분류할 수 있을까?. 재료비의 분류와 재료 구입 시 발생하는 부수적인 지출 비용인 취득 부대비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재료비 정의와 분류
재료비의 정의로 기업은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우선 재료를 구입하고, 구입한 재료를 창고에 일시적으로 보관해 두었다가, 생산계획에 따라 제조공정에 투입(소비)한다. 이처럼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공정에 투입한 재료의 금액을 재료비라고 한다. 재료비를 형태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① 주요 재료비
주요 재료란 제품을 구성하는 주된 재료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자동차를 생산하는 데 사용되는 철판. 타이어 등이 이에 해당된다.
② 부재료비
부재료는 제품을 생산하는 데 있어서 부가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재료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의류를 생산하는 경우 원단이 주요 재료라면, 단추나 액세서리 또는 염색용 약품 등은 부재료에 해당된다.
③ 연료비
연료는 제품을 생산하는데 직접 사용되지는 않지만 공장 전체를 가동하기 위한 발전기나 스팀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벙커C유, 윤활유등이 이에 해당된다.
④ 공장 소모품비
공장 소모품은 공장에서 사용되는 소모성 물품으로써, 화장실에서 사용하는 휴지,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사무용품 등을 말한다.
⑤ 소모 공구 및 비품비
소모 공구 및 비품은 사용년수가 1년 미만인 소액의 공구로, 스패너 · 드라이버 등이 이에 해당된다. 보통 재료비는 이러한 형태별 분류에 기능별 분류를 더해서 다시 분류, 집계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재료비는 제품과의 관련성에 따라 직접 재료비와 간접 재료비로 구분한다. 즉, 제품 생산을 위해 소비되고, 그 제품의 주된 실체를 구성하는 원가는 직접 재료비로 처리한다. 반면에 제품의 실체를 구성하기는 하지만 발생된 원가 금액이 소액으로서 그다지 중요하지 않고, 제품별로 그 재료의 소비액을 계산하는 것이 비경제적이거나 제품의 실체를 구성하지 않는 원가는 간접 재료비로 처리한다.
취득 부대비용이란?.
재료비에는 재료를 창고에서 출고 가능한 상태로 만들기까지 발생한 모든 비용이 포함된다. 재료를 구입하는 경우 물건 값 이외에도 여러 가지 부수적인 비용이 지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재료 구입대금 이외에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비용을 취득 부대비용이라고 하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항목이 있다.
- 외부 취득 부대비용: 매입수수료, 인수 운임, 하역비, 관세 등
- 내부 취득 부대비용: 구입사 무비, 검수비, 보관비 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