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원가의 여러형태와 직접비와 간접비

by 패스트뤠인 2022. 9. 19.

원가는 개념에 따라 여러 형태(종류)로 나눌 수 있다. 사후원가와 사전 원가, 전부 원가와 부분 원가, 특수 원가에 대해 정리해보고 원가 및 비용을 정리할 때 필요한 직접비와 간접비, 좀 더 상세하게는 제조 직접비와 제조간접비에 대하 알아보겠습니다.

 

 여러 개념의 원가

 

1. 사후원가와 사전 원가

원가는 그 계산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다. 우선 원가를 계산하는 시점을 어디에 두는가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제품 원가를 제품이 생산된 이후에 파악하는 것을 사후원가라 한다. 사후원가는 실제 원가·취득원가 또는 역사적 원가라고도 하며 제품의 제조를 위해 사용된 재화나 용역의 실제 구입 가격에 실제 소비량을 곱해
서 계산한다.
 이에 반해 제품을 생산하기 이전에 파악하는 원가를 사전 원가라 한다. 사전 원가는 표준원가, 견적 원가, 예정원가라고도 하며, 그 예정의 방법이나 정도에 따라서 구별된다.
2. 전부 원가와 부분 원가
원가의 집계 범위에 따라서 전부 원가와 부분 원가로 구별할 수 있다.
전부 원가는 원가의 3요소인 재료비·노무비, 경비를 모두 집계한 것을 말한다. 통상적인 원가계산제도에 있어서 원가를 가리킬 때는 이 전부 원가를 말하며, 우리나라의 기업회계기준과 법인세법도 전부 원가계산을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처리 방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한편 재료비·노무비·경비 가운데 일부만을 원가 범위로 하여 원가계산을 수행하는 부분 원가가 있다. 이는 원가계산을 관리 목적으로 이용하는 경우에 한정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대표적인 예로 가공비와 변동비를 들 수 있다.
3. 특수 원가
특수 원가란 일반적인 원가계산상의 원가개념과는 달리, 기업회계 측면이나 경영자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작성되는 특수한 목적의 원가계산 및 조사방법을 말한다. 대표적인 특수 원가로는 기회원가, 매몰원가, 차액 원가 등이 있다.

 

 직접비와 간접비를 구분하는 이유는?. 직접비와 간접비의 구분

 

만약 기업이 1가지 제품만 생산한다면 모든 비용은 그 제품의 제조에 사용될 것이므로, 제품과의 관련성에 따른 직접비와 간접비의 구별은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극단적으로 말해 기업이 1 제품만을 생산한다면 재료비·노무비, 경비의 구분 또한 필요 없을 수도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대부분의 기업은 여러 종류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이 경우 모든 원가를 합해버리면 어느 제품에 어느 정도의 원가가 소요되었는지를 전혀 알 수 없게 된다. 그래서 특정 제품에 사용되는 원가나 비용을 직접비로 파악하여 그것을 특정 제품 자체의 원가에만 집계하고, 제품 전체에 사용되는 원가나 비용은 간접비로 파악하여 합리적인 배부방법에 따라 각 제품 원가에 배분한다. 이처럼 원가를 제품별로 구분하고, 간접비를 일정한 배부방법에 따라 배분하는 것이 바로 원가계산의 특징이자 어려움이다. 그리고 간접비는 모든 제품의 생산과정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하고, 특정 제품을 위해 소비되었다는 것을 직접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일정한 기준에 따라 각각의 제품에 부담시켜야 하는데, 이러한 원가계산상의 배분절차를 간접비의 배부라고 한다.

 

제조 직접비와 제조간접비

원가의 구성요소인 재료비·노무비·경비를 각각의 비용항목으로 분석하여 직접비와 간접비로 구분한 다음 여기서 각각의 직접비, 다시 말해서 직접 재료비, 직접노무비, 직접경비를 더한 것이 제조 직접비로서 특정 제품의 원가가 된다. 그리고 간접 재료비, 간접노무비, 간접경비는 제조간접비로 집계되어 간접비의 제품별 배부 작업이 이루어진다.
제조 직접비와 제조간접비를 합하면 제품의 제조원가가 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