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목적에 맞게 원가계산 설계하기

by 패스트뤠인 2022. 9. 21.

원가계산은 재무제표를 작성하기 위해서만이 아니라 효율적인 기업 경영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 즉, 경영관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원가정보를 사전에 파악할 필요가 있다. 특히 원가계산은 목적에 따라 다양한 원가계산 체계를 고안할 수 있는데, 복식부기 원리에 따라 항시적으로 원가 거래를 기록. 계산하는 원가계산제도와 복식부기원리에서 벗어나 특수한 원가개념을 이용하는 특수원가계산이 그것이다.

 

 원가계산 제도와 특수 원가계산

 

보통 원가계산제도는 경상적·규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수 원가계산은 비경상적으로 경영자의 요구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전부 원가계산과 직접 원가계산

 

전부 원가계산이란 제품을 생산하면서 발생한 모든 원가, 다시 말해 생산원가 전체를 집계하는 방법이다. 이처럼 집계된 제품 원가 가운데 팔린 부분은 매출원가로, 재고로 남는 부분은 재고자산으로 구분하며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차감하여 기간 손익을 계산한다. 이같이 계산된 원가정보는 재무제표를 작성하거나 가격을 결정하는 데 활용된다.

 

 목적에 맞는 원가계산


원가계산을 하다 보면 발생한 원가를 제품에 합리적으로 집계할 수 있는 경우가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다. 또한 모든 원가가 동일한 성격을 띠는 것이 아니라 성격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전부 원가계산에 있어 모든 원가는 제품에 합리적으로 집계할 수 있고 모든 원가의 성격이 동일하며 기간 이익을 내기 위해 동일하게 기여하는 것으로 간주하는데 이것이 바로 전부 원가계산의 한계점이다.
이러한 전부원가계산의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 바로 직접 원가계산이다. 이는 생산활동에 따라 발생한 원가를 변동비와 고정비로 각각 구분한다. 다시 말해 매출액 · 판매량. 생산량 등 일정한 조업도의 변동에 따라 원가가 어떻게 변화하는가라는 관점에서 원가를 변동비와 고정비로 구분한다. 이처럼 원가의 이질성을 감안하여 구분한 후 수익창출에 대한 기여도를 분석한다.

 

 예정원가계산과 실제 원가계산

 

원가계산은 생산을 하기 전에 원가를 산정할 것인가 아니면 생산한 이후에 산정할 것인가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먼저 생산하기 전에 투입이 예정된 원가로 계산하는 것을 예정원가 계산이라고 하는데, 이는 원가의 예정 방법이 과학적인가 아닌가에 따라 다시 표준원가계산과 견적 원가계산으로 구분된다.
통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원가계산은 생산 이후에 실제 발생한 원가를 근거로 하여 계산되며, 이를 실제 원가계산이라고 한다.

댓글